content="user-scalable=no, initial-scale=1.0, maximum-scale=1.0, minimum-scale=1.0, width=device-width"> 혈압이 오르지 않게 하는 식습관 7가지
본문 바로가기
건강&웰빙/식습관과 운동

혈압이 오르지 않게 하는 식습관 7가지

by 무등산 박 2025. 4. 15.
반응형

혈압은 침묵 속에서 올라갑니다. 느끼지 못한 채 어느 날 갑자기 ‘고혈압’이라는 말을 듣게 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 글에서는 혈압이 올라가는 이유와 식습관의 관계, 그리고 혈압을 오르지 않게 관리하는 7가지 식사 습관
쉽고 구체적으로 알려드립니다. 매일 먹는 것이 결국 내 몸의 혈압을 만듭니다.

혈압을 높이는 음주 이미지 by pixabay

혈압은 왜 자꾸 오를까?

“혈압이 높아요”라는 말을 들으면 많은 사람이 놀랍니다. 왜냐하면 대부분은 고혈압이 ‘느껴지지 않기 때문’이죠.

하지만 혈압은 느껴지지 않아도 조용히 올라가 심장, 혈관, 뇌, 신장에 부담을 주고 심하면 뇌졸중, 심근경색 같은 심각한 질환으로 이어집니다. 가장 큰 문제는 잘못된 식습관이 오랜 시간 누적되어 혈압을 올린다는 것입니다. 즉, 오늘 내가 뭘 먹느냐가 미래의 건강을 좌우한다는 뜻입니다.

고혈압과 식습관의 관계

고혈압이란?

고혈압은 말 그대로 혈관 속 압력이 정상보다 높은 상태입니다.

항목 수축기 혈압 이완기 혈압
정상 120 이하 80 이하
전고혈압 120~139 80~89
고혈압 1기 140~159 90~99
고혈압 2기 160 이상 100 이상

 

고혈압의 가장 큰 원인 중 하나가 바로 짠 음식, 포화지방, 설탕 등 잘못된 식습관입니다. 혈압을 관리하기 위해선 식사부터 바꿔야 합니다.

혈압을 안정시키는 영양소들

나트륨은 줄이고, 칼륨은 늘리자

  • 나트륨(소금)은 혈관을 수축시켜 혈압을 올립니다.
  • 칼륨은 나트륨을 몸 밖으로 배출해 혈압을 낮추는 데 도움을 줍니다.

칼륨이 많은 음식: 바나나, 고구마, 시금치, 콩류, 토마토

마그네슘, 칼슘도 중요하다

  • 마그네슘은 혈관 이완을 돕습니다.
  • 칼슘은 혈관의 수축과 이완을 조절해 혈압 안정에 기여합니다.

추천 식품: 오트밀, 두부, 아몬드, 브로콜리, 멸치, 저지방 우유

항산화 성분도 챙기자

블루베리, 딸기, 비트, 녹차 등에는 항산화 성분이 풍부해 혈관 노화를 막고 혈압 상승을 억제하는 데 도움을 줍니다.

혈압을 낮추는 7가지 식습관

1. 음식 간은 최대한 싱겁게

  • 국물은 적게, 젓갈·장아찌는 자주 먹지 않기
  • 외식 시 국물은 남기고, 양념류는 덜어내기
  • 간장이나 소스를 적게 사용하도록 연습

2. 하루 나트륨 섭취량 줄이기

  • WHO 권장 나트륨 섭취량은 하루 2,000mg 이하
  • 라면, 가공식품, 인스턴트는 나트륨 함량이 높음

3. 가공식품 대신 자연식 위주로

  • 햄, 소시지, 베이컨 등은 나트륨과 포화지방이 많음
  • 채소, 통곡물, 생선, 콩류 등 자연 그대로 식품 선택

4. 채소는 매 끼니마다 충분히

  • 식이섬유는 나트륨 배출을 돕고 혈압 안정에 도움
  • 매 끼니 접시에 채소를 반 이상 채우기

5. 외식은 일주일에 2회 이하로 제한

  • 외식은 조미료, 소금 사용량 조절 어려움
  • 직접 만든 집밥이 혈압 관리에 가장 좋음

6. 커피와 카페인 섭취 줄이기

  • 과도한 카페인은 일시적으로 혈압 상승 가능
  • 하루 1~2잔 이하로 제한하고 늦은 시간 섭취 금지

7. 음주와 흡연은 반드시 줄이기

  • 음주는 혈압을 높이고, 흡연은 혈관을 손상시킴
  • 하루 한 잔 이하, 가능하면 금주·금연이 가장 좋음

건강한 식사 습관이 혈압을 지킨다

혈압은 느껴지지 않지만 우리 몸 전체의 혈관 건강을 좌우하는 중요한 지표입니다.

매일 먹는 음식이 결국 내 몸의 압력을 결정합니다. 간을 줄이고, 가공식을 줄이고, 채소를 늘리는 아주 작은 변화로
당신의 혈압은 달라질 수 있습니다. 지금부터 식탁이 당신의 혈압 약이 되어줄 수 있습니다.

반응형